'로테이터캠' 작동 과정. 사진=현대자동차∙기아
 '로테이터캠' 작동 과정. 사진=현대자동차∙기아

현대자동차∙기아는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의 회전과 소형 와이퍼를 결합해 외부오염을 제거하는 ‘로테이터캠(Rotator-Cam)’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자율주행은 기술적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센서에 묻은 조그마한 이물질이 치명적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자율주행 기능이 정교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센서 클리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은 팝업 방식의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우천시에는 잔존 워셔액이나 누적된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용해 오염을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방식은 우천시 물방울을 제거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이 역시 와이퍼가 카메라 센서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 기술은 다양한 센서 클리닝 기술 중 하나로 먼지와 진흙, 물방울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테이터캠은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와 커버 글라스 하단부에 위치한 워셔액 공급장치, 고정형 와이퍼 블레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분석 AI가 오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워셔액 공급장치가 작동되고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킨다. 회전에 의해 오염 물질은 소형 와이퍼에 걸러지게 되고 다시 선명한 영상 전송이 가능해진다.

레인 센서를 통해 우천 상황을 감지하면 워셔액 분사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물방울이 번지는 현상도 최소화한다.

와이퍼 블레이드와 워셔 노즐이 일체형으로 설계돼 오염 제거 성능이 우수한데다, 워셔액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고 워셔액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또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프로펠러 날개로 바람을 일으켜 습기도 제거할 수 있다.

현대차ㆍ기아는 이 기술이 상용화할 경우 레벨 4 이상의 완전 자율주행에 요구되는 센싱 고도화 기술을 뒷받침해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노즐 부품 기반의 클리닝 기술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의 면밀한 검증을 위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시나리오를 가정해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내구성과 성능 테스트를 거친 뒤 양산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센서 클리닝 기술은 자율주행 기술을 앞당기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다양한 편의기술 개발을 위해 전 부문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뻔하지 않은 뻔뻔한 뉴스-뉴스W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