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대한상공회의소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최근 나빠진 청년 고용상황에서도 청년들은 여전히 대기업·공공기관 위주의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여전히 대기업(64.3%), 공공부문(공공기관, 공무원)(44.0%), 중견기업(36.0%) 순으로 나왔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청년들의 대기업·공공부문 선호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고착화시키고 청년층 일자리 사정을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를 보면 2022년 3분기 기준 적극적 구인활동에도 채용 못한 미충원인원이 18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며, 이는 대부분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17만3000명, 93.7%)에서 발생했다.

반면 통계청의 ‘4월 고용동향’ 집계에선 청년취업자 수는 청년인구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전년동월 대비 5만2000명이 줄었다.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선호는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에게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업무량에 비해 낮은 처우’(63.3%), ‘워라밸 실현 어려움’(45.3%), ‘불투명한 미래성장’(43.7%), ‘낮은 고용안정성 우려’(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37.0%) 등 순이었다. 

청년구직자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임금 및 복지수준’(86.7%)를 꼽았다. 이어 ‘근로시간(워라밸)’(70.0%), ‘근무환경(안정성, 업무강도)’(65.7%), ‘고용안정성’(57.0%), ‘기업위치’(44.0%)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신입사원 초봉에 대해서는 ‘3000~350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고 ‘3000만원 미만’(20.0%). ‘3500~4000만원 미만’(19.0%) 순으로 뒤따랐다. 이어 4000~4,00만원 11.0%, 4500~5000만원 5.3%, 5000만원 이상 5.7% 순이었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명의 청년지원자들이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때문이라는 응답이 71.7%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 등을 꼽았다.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46.7%)이 우선적으로 돼야 한다는 것이 청년들의 생각이다.

다음으로 ‘경기활성화’ 정책(40.7%), ‘노동시장 개혁’(33.3%)이 뒤따랐다. 그 외 ‘기업투자 촉진’(24.7%),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23.0%), ‘대졸자 과잉해소 등 교육개혁’(18.3%), ‘4차 산업혁명 인력수요에 맞게 재교육’(12.7%) 등 순이었다.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물었을 때 응답자들의 78.0%가 ‘임금수준 향상’을 꼽았으며, ‘워라밸 보장’(62.0%)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42.0%), ‘안전한 일터 조성’(39.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청년인력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는 만큼 청년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대책이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설문에 응답한 청년들 중 정부의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에 신청해 참여한 비율은 15.0%에 그쳤다. 응답청년의 77.7%가 지원신청을 하지 않았고 신청했지만 떨어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7.3%였다.

청년일자리 지원정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정보를 찾기 어려워서’(29.2%)와 ‘신청해도 안 될 것 같아서’(29.2%)가 가장 많았다. 이어 ‘관심이 없어서’(24.9%), ‘도움되지 않을 것 같아서’(15.9%)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 뻔하지 않은 뻔뻔한 뉴스-뉴스W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